Server/Linux
Linux // ACL ( Access Control List )
깨래
2018. 2. 7. 11:45
회사에 인턴 사원이(I-USER1)이 입사를 해서 인수인계를 위해 사원들이 사용하는 디렉토리 중 S-LV01 디렉토리에 접근을 해야 한다.
ACL (Access Control List / 접근 제어 목록)
- 디렉토리 및 파일에 특정 사용자, 그룹에 특정 권한을 부여하는 기능
getfacl - 파일과 디렉토리에 설정된 ACL 확인
setfacl - 파일과 디렉토리에 ACL 설정
getfacl [파일/디렉토리] // 파일/디렉토리에 설정된 ACL 확인
#setfacl [옵션] [규칙] [파일/디렉토리]
1) 옵션
-m (modify) 권한을 수정할 때 사용
-x 권한을 삭제할 때 사용
2) 규칙
u:[UID]:[권한] == user:500:rwx == user:S-USER1:rwx == user:S-USER1:7
g:[UID]:[권한] == uroup:500:rw- == g:S-USER1:rw- == g:S-GROUP:6
o:[권한] == other:rwx == other:7
<TEST>
((1))
# 허가거부
((2))
# getfacl S-LV01
#명령어 실행
# setfacl -m user:I-USER1:rwx S-LV01
((3))
#변경 된 모습 확인
((4))
#실제로 허가 되는지 확인하는 모습 ( pwd 현재 어느 디렉토리에 있는지 확인)
((5))
# 허가권 오른쪽에 +가 추가 됐는지 확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