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네트워크
- 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PC와 PC들이 모여서 구성된 망
- 목적 : 정보 공유
- 구성 : PC와 PC들이 연결됨(IOT 등)
- 장점 : 편의성 제공
- 단점 : 보안성 취약 (중요한 정보를 가지고있는 pc들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)
2. 프로토콜(Protocol)
- 데이터 전송 규약 = 데이터 전송 도구
- 네트워크 환경 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때 전송 방법을 정의하는 규칙/제도/약속
- Ex) TCP, UDP, IP, Ethernet
- 데이터 전송 시 쓰는 도구라고 생각
3. 인캡슐레이션(Encapsulation) <-> 디캡슐레이션
-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프로토콜 정보를 추가하는 패키지 과정
- Ex) ETH | IP | TCP | HTTP
헤더 헤더 헤더
HTTP를 보내기 위해선 TCP를 이용한다. 감싼다 (순서대로)= 인캡슐레이션
ETH | IP | TCP | HTTP
헤더정보 헤더정보 헤더정보
데이터 전송이 잘 됐으면 겉부터 뜯어낸다 = 디캡슐레이션
ETH > IP > TCP > HTTP
14byte 20byte 20byte(24,28도 됨) 2189byte
박스 포장이라고 생각 . 작은 물건이라도 박스로 포장해서 보낸다. 점점 부피가 커진다.
이더넷, ip, tcp를 박스라고 생각
이더넷의 (00:e0:4c:14:~) 는 주소. ip의 dst(목적지주소)를 보고 보낸다.
4. 네트워크 유형
1) LAN(Local Area Network)
- 내부 네트워크
- 장비 : 스위치, PC 랜-카드(NIC = Network Interface Card), UTP 케이블, 무선 AP
- 프로토콜 : Ethernet
- 구축 방법 : 버스 토폴로지, 스타 토폴로지(구축 어려움)
- 권장 방법 : 스타 토폴로지 + 이중화 도입(링크 및 장비)
- 설계 핵심 : 확장성, 이중성, 가용성(서비스가 중단이 되면 안되는 성질)
- 관리 : 사내 관리자 및 업체 관리자
[참고] 네트워크 관련 업체
1. ISP = 통신사업자 (Internet service provider)
- 기업 고객 / 사용자에게 인터넷 및 네트워크 서비스망을 임대 / 제공하는 업체
- Ex) KT, SK, LGU+ .. 90개 정도 있음
2. SI / NI (시스템 / 네트워크 통합 사업자)
- 기업 고객 / 사용자에게 시스템 / 네트워크 서비스 구축, 운용, 관리, 유지보수 업체
- 추가 사업 : 보안 솔루션, IPT / UC (보이스 / 영상), CCTV, 무선, IoT, 클라우드, 가상화 서비스
- Ex) XXXX 시스템, XXX 정보 통신, XX네트 ... 등등
- 최대 고객은 ISP업체
ex)
KT 'IPv6 통신망 인프라 구축 사업'
- 규모 5000억
- 기간 3년
콤텍 정보 통신, 링네트(입찰 선정), 인네트
3. 밴더사
- 자사 기술 및 연구를 통하여 운영체제, DB, 소프트웨어, 하드웨어를 판매하는 브랜드 기업
- Ex) Cisco, IBM, HP, MS, Oracle, 삼성, LG ... 등등
2) WAN(Wide Area Network)
- LAN과 LAN을 연결하는 외부 네트워크
- 장비 : 라우터
- 프로토콜 : HDLC, PPP, Frame-Relay, Ethernet(100M / 1000M / 10000M ...)
- 구축 방법(기업 입장) : ISP 업체로부터 회선(네트워크망)을 임대하는 방식
- 관리 : ISP 업체 관리자 및 SI/NI 업체 관리자
3) Internet
- 전세계적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망
- 국내 ISP 업체 및 해외 ISP 업체 간에 네트워크로 연결 실시(해저케이블) -> 경로 정보 교환
- 프로토콜 : TCP/IP
(해저케이블 연결망 현황 https://www.submarinecablemap.com/#/landing-point/shindu-ri-korea-rep- )
LAN과 LAN을 연결하기위에 WAN이 생기고, 국가랑 국가끼리 연결하기위해 internet이 생김( 자연발생 )
4) Intranet
- 기업 내부에서 사용하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망
- 용도 : 회사 게시판, 공지사항, 기록/내역
5. 데이터 전송 관계
- 요청에 의한 응답 관계
- 요청자 : 클라이언트(Client) : 정보를 원하는 시스템 윈도우(GUI) > 리눅스(CLI)
- 응답자 : 서버(Server) :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윈도우(GUI) < 리눅스(CLI, 무료)
클라이언트 서버 ( A 정보)
A 정보 요청 ---------------->
<--------------- A 정보 응답
6. 데이터 전송 방식
1) 유니캐스트(Unicast)
- 1:1 데이터 전송
- Ex) 인터넷
2) 브로드캐스트(Broadcast)
- 1:전체 데이터 전송
- Ex) ARP 요청, DHCP 요청
- 실시간 서비스
3) 멀티캐스트(Multicast)
- 1:특정 그룹 데이터 전송
- Ex) IPTV
'Cisc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isco // 서브네팅, VLSM (0) | 2018.02.27 |
---|---|
Cisco // IP (0) | 2018.02.27 |
Cisco // 공격의 종류 (0) | 2018.02.26 |
Cisco //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(0) | 2018.02.26 |
Cisco // 네트워크 주소 체계 (0) | 2018.02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