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전 (딕셔너리 , Dictionary)
사용법 측면에서 보면 리스트와 비슷하다. 리스트처럼 첨자를 이용해 요소에 접근하도 또 그 요소를 변경할 수 있다.
리스트와 다른점은 리스트는 요소에 접근할 때 0부터 시작하는 수 첨자만 사용할 수 있지만, 딕셔너리는 문자열과 숫자를 비롯해서 변경이 불가능한 형식이면 어떤 자료형이든
사용할 수 있다. 딕셔너리의 첨자는 키(key)라고 하고, 이 키가 가리키는 슬롯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일컬어 값(Value)이라고 한다. 딕셔너리는 키-값 의 쌍으로 구성된다.
딕셔너리는 탐색속도가 빠르고, 사용하기도 편하다.
딕셔너리 만드는 방법
1) 딕셔너리이름 = {키(Key) : 값(value) , 키(Key) : 값(value) , 키(Key) : 값(value) ...}
2) 딕셔너리이름 = {}
딕셔너리이름[키]=값
딕셔너리이름[키]=값
해싱 - 딕셔너리는 키를 이용해서 단번에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의 주소를 계산해내기 때문에 속도가 거의 소요되지 않는데 이 작업을 해싱이라고 한다.
변경이 불가능한 자료형에 대해서만 해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변경이 가능한 자료형은 딕셔너리의 키로 사용할 수 없다.
위의 2번의 방법대로 만들어서 출력을 해보면 입력한 순서와 다른 것을 볼 수 있다. 이것은 딕셔너리가 데이터를 저장할 때 키를 해싱해서 주소를 계산해내기 때문이다.
딕셔너리의 메소드 중 자신에게 저장되어 있는 키의 목록과 값의 목록을 따로 추려낼 수 있다.
keys() 는 key의 목록 values()는 value의 목록
items() 메소드는 키와 값의 쌍으로 이루어진 전체 목록을 반환한다.
in 연산자를 이용하여 특정 키가 키 목록 안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. 값도 마찬가지 ^-^
딕셔너리 안에 있는 키-값 쌍을 제거하려면 pop() 메소드를 이용한다. pop()메소드의 매개변수에는 삭제할 키-값의 키 를 입력한다.
딕셔너리의 데이터를 남김없이 정리하고자 할 때는 clear()메소드를 이용한다.!
'programming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// 반복문 (0) | 2017.11.26 |
---|---|
Python // 분기문 (0) | 2017.11.25 |
Python // 튜플(tuple) (0) | 2017.11.22 |
Python // 리스트(list) (0) | 2017.11.21 |
Python // 문자열 (0) | 2017.11.20 |